economy

테마주 핀테크 - 한국 중국 아프리카 핀테크 환경

와피덕 2017. 4. 11. 15:40
반응형

중국이 한국보다 핀테크 앞서나가는 이유





알리페이 2014 - 2016




한국 핀테크 테마에 미래가 있을까?





 

 제3세계

 중국

 한국

 자본주의역사

 산업기반 미비

 고도성장 정체기


 산업화 완료단계

 제로성장


 결제환경

 -

 카드와 핀테크 동시 시장진입


 알리페이 위챗페이


 노점상의 폰 QR 결제 가능


 밴-POS 카드결제 압도적 우위


 노점상 : 현찰 받아요~

 통신환경

 3G / LTE


 맨땅에 무선통신 도입


 유선단말 유선VAN 미비


 무선우위

 유선기반 VAN 우위


 "IT 강국" 결제에는 손놓은 초고속

 무선인프라

 핀테크주체

 맨땅에

 핀테크 키우기

 글로벌플레이어

 알리바바


 기존주체 대비

 소규모

 방해물

 정치군사적 불안정

 정치적 임의성

 기존 밴사


 카드사


 금융지주사


 휴대폰 소액결제업


 기 회

 

 

 

 

 

 

 

 브랜드

 케냐 M-pesa / 보다폰

 파키스탄 

 알리페이(즈푸바오, 9억명대)

 삼성페이(카드결제수단)


 카카오페이 (알리페이에 포섭)

 

 

 

 






독자시장 존재가능성?


- 원화가 기축통화 될 수 없듯


- 시장통합 시대의 기축페이 사이에서


   지분소유된 서브브랜드로 종속적 생존 가능성





    페이팔, 알리페이 vs 한국 페이





수수료문제


편리한 카드결제 방식으로서의 페이모델이 아니라  


밴기반 카드결제, 익월지급의 20세기 모델 혁파가 중요






카드결제망에서 독립한 진정한 한국형 페이모델


- LTE 기반, 수수료 0.1% 미만대


- 물가안정효과


- 소상공인 부담 감소





황무지 신축보다  철거후 신축이 힘들다.  한국은 기득권 구조의 철거가 곤란한 지경


 - 카드업계는 끝까지 저항한다.


 - 금융지주사는 계열 카드사 이익때문에  은행계좌 이체식  제로수수료 페이모델 주저





페이계좌 펀드랩 문제


- 알리페이 펀드



반응형